전체 글16 조선선재, CS홀딩스 | 세아홀딩스의 세아에삽 매각을 보며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4999272 세아, 특수강 중심 사업구조 재편…비주력 계열사 매각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세아그룹이 비주력 계열사를 사모펀드에 매각하며 특수강 중심의 사업구조 재편에 박차를 가한다. 세아홀딩스(058650)는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자 세아홀딩스가 보유한 세 n.news.naver.com 2013년 세아그룹 회장의 별세 이후 그룹은 세아제강을 중심으로 강관에 집중하는 세아제강지주와 세아베스틸을 중심으로 특수강에 집중하는 세아홀딩스로 체계를 나누면서 계열 분리 사전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세아홀딩스의 계열사로 편입된 세아에삽은 매출액이 800~900억원 정도 나오는 용접봉 회사입니다. 매출액만 놓고 보면 조선선재보다 더 크고, .. 2021. 8. 10. 조선선재, CS홀딩스 : 2Q21 실적 브리핑 | 조선선재 조선선재와 CS홀딩스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예상한대로 괜찮은 실적이 나왔지만 전년동기대비 실적이 엄청나게 잘 나온 회사들이 워낙 많다보니 상대적인 매력이 떨어져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국내 경기와 수출이 좋은 수치를 보이고 있고, 각국 재정정책, 그리고 조선업종 및 건설업종, 기계업종의 업사이클을 감안하면 조선선재와 CS홀딩스에 대한 투자아이디어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이번 분기 실적을 보면 철강 가격 인상이 가파르게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익률에는 별다른 타격이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 일단 조선선재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6.4% 증가한데 비해 영업이익 상승폭이 약 8% 로 조금 약하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OPM은 22.6% 정.. 2021. 8. 10. 투자이론 | 재무제표 개요 (2) 현금흐름표와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기업활동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구분하여 일정기간 동안 각 활동에서 나타나는 현금흐름(현금유입, 현금유출)을 표시하는 재무제표 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투자자에게 좋은 기업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 부호를 가져야 합니다.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기업 본래의 영업활동에서 비롯된 현금흐름을 표시한 계정입니다. 예를 들어 포스코라면 철광석, 유연탄 등을 원재료로 구입하거나 제품 판매직원에게 임금을 지급할 경우 이 계정에서 현금유출이 발생하고, 제품 판매 시 이 계정에 현금유입이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업체라면 영업활동으로 돈을 벌고 있을 것이므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현금유입이 현금유출보다 많아야 합니다... 2021. 7. 13. 정유업, 석유화학업 | 거인들의 밥그릇 싸움 http://naver.me/GIqJ24qK 정유사 '영역 침범'에…화학사 "脫나프타" 반격 국내 주요 석유화학 회사들은 원료 대부분을 정유사로부터 받아서 썼다. 휘발유와 성분이 비슷한 나프타다. ‘화학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은 나프타를 분해해 만든 것이다. 최근 n.news.naver.com 국내 주요 석유화학 회사들은 원료 대부분을 정유사로부터 받아서 썼다. 휘발유와 성분이 비슷한 나프타다. ‘화학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은 나프타를 분해해 만든 것이다. 최근 이런 흐름에 변화가 생겼다. 정유사가 나프타 생산에 머물지 않고 에틸렌, 프로필렌 등 화학제품까지 생산하기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됐다. 석유화학 회사들은 자신들의 ‘안방’에 들어온 정유사들이 마뜩잖았다. 이들은 나프타 .. 2021. 7. 7. 조선업 | 조선업종 개요 자료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hinsj1382&logNo=222419924329&proxyReferer= 조선업 기초 정리 우선 글에 앞서 메리츠증권의 산업리포트를 기반으로 작성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조선업 즉, 선박을 건조하...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ehgur06/222421181213 조선업에 대한 기본 이해과 기타 개념들 올해는 분기별로 시클리컬을 하나씩 공부하며 저만의 이론서를 만들고 있습니다. 1분기는 건설을 했었고 2... blog.naver.com 조선업쪽 자료가 많아지는 걸 보면 업황이 업사이드를 향하고 있다는 게 확연해지는 것 같습니다. 현 시점.. 2021. 7. 6. 투자이론 | 재무제표 개요 (1)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재무제표(F/S : Financial Statements)란 기업의 경영활동 수행으로 나타난 재무현황과 경영성과 등을 표시하는 회계보고서를 의미하며, 그 종류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주석이 있습니다.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와 주석은 재무제표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이론적인 쟁점은 투자자에게 의미가 없으니 생략하겠습니다. 재무제표는 3가지 전제를 기반으로 작성됩니다. (1) 기업실체의 가정 기업은 소유주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회계단위입니다. 경제활동의 권리와 책임을 기준으로 기업단위를 구분하므로 법인 단위로 구분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한 지배회사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 2021. 6. 18. 투자이론 | 리스크와 수익률 (2)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 | 시장불균형과 시장균형 시장불균형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만약 리스크가 다른 종목 대비 더 낮으면서 기대수익률이 더 큰 종목이 존재한다면, 시장불균형 상태인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해당 종목에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가격이 오르고, 결국은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률 수준이 다른 종목과 동일해집니다. 말하자면, 시장균형 상태로 수렴하는 것이지요. 이전에 살펴보았던 차익거래 개념과 동일합니다. 주어진 리스크에 대하여 시장균형 상태에 이르는 기대수익률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수익률을 "균형수익률"이라고 하는데, 이 수치를 알 수 있다면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구할 때 할인율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자본시장선 (CML : Capital Market Line) 리스크와 기대수익률 사이의 관계식으로.. 2021. 6. 18. 투자이론 | 리스크와 수익률 (1) 기본개념 | 무위험자산과 기대수익률 정기예금이나 국공채와 같은 자산군은 무위험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여기에 투자하면 정해진 이자율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자를 확실히 받게 됩니다. 이러한 확실성(certainty) 하에 얻게 되는 수익률을 무위험수익률(risk free rate of return)이라고 합니다.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자산군에 투자하면 미래시점에 얼마만큼의 수익이 날 지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uncertainty)을 감수하면서 추구하는 수익률을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기대수익률이 무위험수익률보다 높아야 주식, 부동산 같은 위험자산에 투자합니다. 그리고 위험자산에 투자할 때도 KT&G 에 투자하는 사람과 테슬라에 투자하는 사람이 .. 2021. 6. 18. 투자이론 | 개요 (3) 화폐의 시간가치 : 현재가치 현재가치(Present Value)란 미래의 받을 금액을 기간과 금리를 감안하여 현재시점의 금액으로 환산한 값을 말합니다. 현재 금리가 10% 이고 1년 후에 1억 1천만원을 받게 된다면, 1년 후에 받을 1억 1천만원의 현재가치는 얼마일까요? 계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1억원이라고 답이 나올 것입니다. 투자를 할 때 미래가치 계산보다는 현재가치 계산을 할 일이 훨씬 많습니다. 기업 A가 기업활동 a를 통해 1년 후에 1억 1천만원을 벌어들인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현재 금리가 10% 라면, 기업활동 a의 수익가치를 현재가치로 계산하면 1억원이 산출됩니다. 아마도 기업A는 기업활동 a 말고도 b, c, ... 여러가지 장사를 하고 있을 겁니다. 각각의 기업활동으로 미래에 벌어들이는 금액을 알고 있다면, 그 금.. 2021. 6. 17. 투자이론 | 개요 (2) 화폐의 시간가치 : 미래가치 | 시간선호 동일한 액수의 돈을 원하는 시점에 받을 수 있다면, 사람들은 기왕이면 지금 받으려고 할 것입니다. 일단 받고 정기예금에라도 넣어두면 이자가 조금이라도 더 붙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지요. 이를 "시간선호" 라고 하는데, 시간선호의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투자기회 실행 가능성 일단 지금 내 손에 돈이 있어야 투자기회가 보일 때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나중에 받는 것보다 지금 받는 게 더 좋을 수 밖에 없지요. (2)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 손실 가능성 물가가 오르면 동일 금액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종류나 양이 줄어듭니다. 같은 금액이라면 지금 쓰는 게 낫겠죠? (3) 미래의 현금수취 불확실성 지금 안받고 다음에 받는다고 한다면, 여러가지 일들이 생겨 그 돈을 못받.. 2021. 6. 17. 이전 1 2 다음